통합검색
HOME
l
CBD-CHM KOREA
l
ABS
주메뉴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소개
생물다양성협약(CBD)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CBD-CHM)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3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생물다양성 통계
생물자원DB
국가생물종목록
국가지정관리종
생물종 검색
생물자원 통계
데이터표준
CITES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검색
생태자원DB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자연공원
특정도서
야생생물보호구역
주요 활동
생물다양성연구·조사
법률
국립연구기관
생물다양성 관련 웹사이트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소식·자료
생물다양성 뉴스
공지사항
ABS 뉴스레터
자료실
생물자원 통계 OPEN API
전체메뉴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소개
생물다양성협약(CBD)
생물다양성협약 개요
당사국총회(COP)
UN 생물다양성 10년 2011-2020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CBD-CHM)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비전과 목표
전략 1
전략 2
전략 3
전략 4
전략 5
3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비전·전략
전략 1
전략 2
전략 3
전략 4
전략 5
전략 6
생물다양성 통계
국내 생물 종 통계
Catalogue of Life 통계
통계자료집
생물자원DB
국가생물종목록
국가지정관리종
생물종 검색
생물자원 통계
생물자원 통계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보유자원 현황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법정관리종 현황
데이터표준
데이터베이스 개요
메타 데이터 세트
자원 종류
CITES
서비스소개
종정보검색
수출입 관련 행정절차
관련부처 및 업무
자료실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검색
생태자원DB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자연공원
특정도서
야생생물보호구역
주요 활동
생물다양성연구·조사
국가생물다양성 관리·보전 연구
생물산업 지원연구
국가생물자원 정보 관리 및 정책지원 연구
법률
국내 주요 법령
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보건복지부
국립연구기관
국가생물다양성센터
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보건복지부
생물다양성 관련 웹사이트
관련 학회
박물관/식물원
정보시스템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사업 소개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목록
분양·대여 문의
소식·자료
생물다양성 뉴스
공지사항
ABS 뉴스레터
자료실
생물자원 통계 OPEN API
생물자원 통계 OPEN API
요청항목
반환목록 및 샘플
저작권 정책
전체메뉴
Open Nav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소개
생물다양성협약(CBD)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CBD-CHM)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3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생물다양성 통계
생물자원DB
국가생물종목록
국가지정관리종
생물종 검색
생물자원 통계
데이터표준
CITES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검색
생태자원DB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
자연공원
특정도서
야생생물보호구역
주요 활동
생물다양성연구·조사
법률
국립연구기관
생물다양성 관련 웹사이트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소식·자료
생물다양성 뉴스
공지사항
ABS 뉴스레터
자료실
생물자원 통계 OPEN API
저작권 정책
소식·자료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소개
생물자원DB
생태자원DB
주요 활동
저작권 정책
>
생물다양성 뉴스
공지사항
ABS 뉴스레터
자료실
생물자원 통계 OPEN API
소식·자료
>
생물다양성 뉴스
생물다양성 뉴스
게시글 검색
제목
내용
Total
842
Page
1
/ 85
제목
대청호 미생물 비율 변화, 유전자 대량 분석으로 파악
작성일
2022. 5.24.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남조류 등 미생물을 대상으로 원인종 비율 분석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최근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미생물을 '마이크로바이옴* 방식으로 분석(미생물 유전자 대량 분석 방식)'하여, 원인종 비율 변화를 파악했다고 밝혔다.&nb...
제목
아열대성 푸른아시아실잠자리 북상 최초로 확인
작성일
2022. 5.19.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시민과학자와 함께 북위 37.7도 경기 파주 서식 분포 확인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자연을 관찰하는 시민과학자와 함께 생물다양성 관측을 실시한 결과, 한반도 기후변화로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던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
제목
울릉도 바다에서 색동놀래기 등 어류 49종 새롭게 확인
작성일
2022. 4.28.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울릉도 연안 해역 수중 관찰로 난류, 한류성 어류 공존 파악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최근 울릉도 해역 수중 조사를 통해 이곳 일대의 바다에서 색동놀래기, 동갈돔류, 돛양태류 등 그간 출현 기록이 없던 49종의 어류를 새롭게 확인했...
제목
연체동물 및 곤충 2,219종 멸종위험 상태 재평가
작성일
2022. 4.12.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국립생물자원관'국가생물적색자료집(연체동물, 곤충)'개정판 발간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국내 연체동물과 곤충 2,219종의 멸종위험 상태를 재평가한 국가생물적색자료집 연체동물*(제6권)과 곤충Ⅰ**(제7권) 개정판을 4월 13일 발...
제목
중국 텃새 검은턱오목눈이 소청도에서 최초 발견
작성일
2022. 3.30.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중국에만 분포하는 텃새의 국외 장거리 이동사례로 주목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올해 3월 7일, 중국에서 텃새로 알려진 미기록종 검은턱오목눈이(가칭)* 2마리를 소청도(인천 옹진군) 서쪽에 위치한 등대 옆 골짜기에서 최초로 관찰했다...
제목
1억여 년 전 퇴적암층에서 살아있는 미생물을 찾아내다
작성일
2022. 3.21.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국립생물자원관, 지하 300m 이상 퇴적암층에서 미생물 생존 확인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지난해 6월부터 최근까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지하 300m 이상의 퇴적암층 시료에서 미생물의 생존을 확인하고, 분리·배양에 ...
제목
유령처럼 몸을 흔드는 신종 거미류 다수 발견
작성일
2022. 3. 7.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국립생물자원관,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유령거미류' 신종 10종 발굴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2021년 '토양 무척추동물 다양성 연구'를 통해 산지성 '유령거미류' 신종 10종을 최근 발견했다고 밝혔다.유령거미류는 거미목(Ara...
제목
현재 한반도에는 자생생물 5만 6,248종이 살고 있어요
작성일
2022. 2.23.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료인 동시에 각 부처별 생물다양성 연구 및 분포조사, 기후변화 연구뿐만 아니라 학계, 산업계에서 연구재료 선정 등의 기준으로 활용된다.이번 국가생물종목록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누리집(species.nibr.go.kr)에서 2월 23일부터 엑셀파일 ...
제목
탄소저장소 이탄습지 등에서 물이끼 신종 2종 발견
작성일
2022. 2. 4.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국립생물자원관, 물이끼류 신종 2종 발견해 국가생물종목록 등재 추진 -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온실가스를 줄이는 탄소저장소 역할을 하는 국내 이탄습지* 등에서 물이끼류 신종 2종을 발견하여 올해 안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
제목
자생 무당개구리 세포로 호흡기 독성물질 알아낸다
작성일
2022. 1.26.
출처
전시교육과
내용
-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세포 활용 호흡기 질환 연구 기대 -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자생 무당개구리의 배아 섬모상피세포*로 호흡기 독성물질을 탐지할 수 있는 기법을 최근 개발했다고 밝혔다.* 섬모상피세포(cliated ep...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