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종류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에서는 타 부처와의 협의에 의해 구축하고 있는 메타 데이터 DB에서, 생물학적 형태 및 국내외의 일반적인 자원범주를 그룹핑하여 자원의 종류를 설정하였습니다. 자원의 종류는 총 16개의 분류로 세분화하였으며, 아래와 같습니다.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정의 | 입력내용 |
---|---|---|---|---|
생물자원 (Biological Resources) |
유전자원 (Genetic resources) |
생체 (biospecimen) |
생물군의 일부 또는 전체 조직 및 기관, 분변, 식물의 잎, 가지, 뿌리, 균류 조직 등을 의미 |
|
DNA (DNA) |
cDNA/ genomicDNA 등의 clone/vector/library 형태로 추출된 DNA 자체 |
|||
종자 (seed) |
식물 유전자원 중 살아있는 생명체로 증식과 복원이 가능한 자원을 의미하며 종자, 담자균 포자 등이 해당 |
|||
배양체 (embryoid body) |
원핵생물, 균류, 조류(藻類) 등의 배양 가능한 생물자원을 순수 분리하여 배양한 것 |
|||
천연물 (natural products) |
자연에서 얻어지는 식물 및 동물 등의 대사산물 추출을 위한 건조시료와 추출물 |
|||
파생물 (derivative) |
생물자원 또는 유전자원의 유전자 발현 또는 대사 작용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생성된 생화학적 합성물 | |||
세포주 (cell line) |
동∙식물의 단일세포를 실험실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적합 영양 배지에서 배양한 세포를 의미하며 동물세포주, 식물세포주, 줄기세포주 등이 있으며 단위는 '주'를 사용 |
|||
개체 (individual) |
||||
체액 (body fluid) |
동물의 체내에 있는 혈액, 소변 등 액상의 구성물질을 의미하며 혈액(blood), 혈장(plasma), 혈청(serum), 눈물(tear drop), 오줌(urine), 침(saliva) 등이 해당 |
|||
표본 (Specimen) |
생물의 몸 전체 또는 일부를 채집하여 그 특징이 영구히 보존 될 수 있도록 처리한 연구용 재료 | |||
전통지식 (Traditional knowledge) |
구전이나 기록으로 내려온 자생생물의 이용 등에 관한 정보 | |||
유전정보 (Genetic Information) |
유전정보 (Genome) |
핵산서열정보 (nucleic acid sequence) |
general DNA sequence, DNA barcode, EST, GSS, STS, WGS, sequence read, whole genome sequence, RNA_seq sequence, 세포소기관유전체정보 등 |
분리원 (source), 분자타입 (molecular type), 데이터유형 (data type), 핵산서열데이터 (sequence data) |
발현정보 (expression) |
array-based data, high throughput sequence data, real time PCR data 등 |
분리원 (source), 데이터유형 (data type), 발현데이터 (sequence data) |
||
단백질서열정보 (protein sequence) |
단백질의 서열정보 |
분리원 (source), 단백질이름 (protein name), 단백질서열데이터 (sequence data) |
||
구조정보 (structure) |
DNA/DNA+RNA/protein+DNA 등의 구조정보 |
분리원 (source), 구조유형 (structure type), 구조데이터 (structure data) |
||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
생물종정보 (Species Description) |
생물종의 형태, 생태, 서식지/생육지, 분포, 멀티미디어정보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