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생물종목록
개요
- 국립생물자원관은 기존의 자생생물과 새로이 연구·발굴된 생물종을 재검토하는 연구를 추진해왔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매년 국가생물종목록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새로이 발굴되는 자생생물 및 분류학적 위치가 변경되는 분류군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 국가생물종목록은 한반도에 서식하는 자생생물의 존재를 확인하는데 큰 의의가 있으며, 생물자원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와 생물자원의 정보원으로, 그리고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정보로 널리 활용될 것이며 아울러 우리나라 생물자원 및 생물다양성 분야 발전에 크게 지여할 것입니다.
- 또한 우리나라가 관리하고 있거나 관리가 필요한 모든 생물종을 대상으로 한국형 생물종목록 연번체계(Korean Taxonomic Serial Number(KTSN))를 제공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효율적인 생물자원 관리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나고야의정서 등 생물자원 관련 국제법이 요구하는 각종 국내절차를 효율적이고 통일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하였습니다.
- 매년 발표되는 국가생물종목록은 국민 누구나 자유롭게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정확한 종목록을 자체적으로 유지관리 할 수 없는 기관은 연계를 통하여 항상 최신 종목록을 받아갈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국가생물종목록에서 7계는 Ruggiero, Michael., et al. (2015)의 분류체계를 따랐으며, 각 구분은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 관리체계를 반영하였습니다.
주요목적
국가생물종목록
- 국가 생물다양성 보전 및 관리
-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실현
- 우리나라 생물주권을 보호
- 우리나라 생물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공유 기록의 통일성 제고
기대효과
- 국가생물종목록은 아래의 기대 효과가 있습니다.
- 첫째, 생물다양성 협약의 이행을 위한 국가 단위의 생물다양성/생물자원 정보관리가 가능합니다.
- 둘째, 우리나라 생물주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 셋째, 분산되어 있는 생물자원 데이터베이스들의 효율적인 통합(Integration)은 국내 기관 및 기업들간의 생물다양성 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넷째, 관련 학문 분야의 발전 및 일반인들에 대한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활용방안
- 각 기관에서는 국가생물종목록을 이용하여, 각 시스템에 적용하여 정확한 생물 종정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한국형 생물종목록 연번체계(Korean Taxonomic Serial Number(KTSN))를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간 비교 분석이 가능해져서 데이터 호환성을 높여주고, 다양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생물종 정보는 국내 모든 생물종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다양한 정보를 직접 연결하여 조회 및 분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