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2. 생태계복원
02
생태계 복원

2027년까지 생태계 훼손지역을 식별하고, 2030년까지 복원 우선지역의 30%에 대한 생태계 복원에 착수하며, 복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생태계 연결성 지수 보완지표
지표명 |
|
---|---|
정의 |
|
생태계 연결성 지수
연도 | 2022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2014 | 2013 | 2012 | 2011 |
---|---|---|---|---|---|---|---|---|---|---|---|---|
지수 | - | - | - | 0.245 | - | - | - | 0.245 | - | - | - | - |
작성 방법 |
평가 대상(지역별 또는 국가 전체 생물 군계)을 기본 공간단위로 구분하고, 보호지역(또는 자연공존지역)으로 지정된 공간의 비율과 일차식생*이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공간의 비율로 연결성 점수 평가 *일차식생: 인위적 교란을 받지 않아 자연적 구조, 기능 등의 변화를 겪지 않은 식물 군집 |
||
---|---|---|---|
평가 방법 |
Cost-benefit 분석 기술(CBA)을 이용해 두 가지 값*을 합산한 후 연결성을 0-1 사이 값으로 도출 *보호지역에 포함**되거나 일차 식생이 분포하는 셀은 ‘편익(benefit)’값이 할당되고, 보호지역에 포함되지 않거나 일차식생을 식재하기 위한 ‘비용(Cost)’ 값을 할당 **보호되는 셀의 연결성은 주변에 있는 모든 셀의 편익 값의 가중 합으로 산출 |
담당 부처 |
|
참고누리집 |
• CSIRO 데이터 액세스 포털 | https://data.csiro.au/ • 생물 다양성 지표 파트너십 대시보드 | https://bipdashboard.natureserve.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