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3. 보호지역
03
보호지역

2030년까지 육상 및 해양 면적의 30%를 보호지역이나 자연공존지역(OECM)으로 지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효과적 현지 내 보전체계를 구축한다.
보호구역 및 자연공존지역(OECM) 면적 핵심지표
지표명 |
|
||||||||
---|---|---|---|---|---|---|---|---|---|
글로벌 정의 |
|
||||||||
글로벌 평가 방법 |
1) 생태계 구성요소: 전 세계 수준에서 보호지역 및 OECM이 육상 및 해양 지역을 차지하는 전체 비율 2) KBA 구성요소: 핵심생물다양성 지역, 생물다양성의 지속성에 크게 기여하는 지역 그리고 OECM 면적 3) 효과성 구성요소: 개발 중 |
||||||||
글로벌 산식 |
2) 해양 및 연안 보호지역 및 OECM 적용 범위 = [전체 전 세계 보호지역 평면 적용 범위 - (ABNJ 면적 + 육상 면적)] + 해양 배타적 경제수역 OECM 적용 범위 3)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 구성요소 UNEP-WCMC의 보호지역과 OECM이 중첩된 공간 데이터 산출 |
||||||||
글로벌 지표 가용 현황 |
| ||||||||
글로벌 지표 링크 | |||||||||
담당 부처 |
|
||||||||
참고누리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