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19. 국제적 기여

19 국제적 기여

전 지구적 생물다양성 위기 극복을 위해 생물다양성 ODA를 포함한 그린 ODA를 증가시키고, 국제기구와 개도국과의 과학기술협력 사업을 확대하는 등 국제적 기여를 확대한다.

그린 ODA 비중 보완지표

지표명
    그린 ODA 비중
정의
  • 우리나라의 총 ODA 사업 규모 대비 생물다양성 보전·증진을 포함한 그린 ODA 사업 규모의 비율[%]
  • * 그린 ODA: 녹색 공적개발원조란 환경을 고려한 개발협력, 개도국의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감축(Mitigation)과 적응(Adaptation)을 지원하는 개발협력을 의미하며 생물다양성 보전, 기후변화 완화, 사막화 예방 등 기후복원력 강화를 반영한 개발도상국 지원 사업 포함하며, 리우마커 표기가 된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그린 ODA 사업 규모

[단위: 백만불]

연도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ODA 지원실적 2,786 2,873 2,250 2,463 2,355 2,201 2,246 1,915 1,857 1,755 1,597 1,325
작성 방법 국무조정실 소관 ODA 통계에 집계되는 전체 ODA 사업 규모와 그린 ODA 사업 규모
평가 방법 전체 ODA 사업 개수 또는 규모 대비 환경부 지정 국제환경협력센터(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공단, 한국수 자원공사)에서 추진하는 녹색 공적개발원조 사업 개수 또는 규모
담당 부처
    외교부 개발협력과
참고누리집

ODA 통계 | https://stats.odakorea.go.kr/portal/odakorea/status